코스메슈티컬즈는 화장품과 약품의 합성어로, 한국에서는 기능성 화장품으로 부르곤 합니다. 코스메슈티컬즈의 역사를 최초의 화장품의 등장과 화장품과 약품의 구분으로 설명하고자 합니다. 이어서 코스메슈티컬즈가 가져야할 조건과 특성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최초의 화장품
cosmetic은 화장품을 뜻하는 영어입니다. 이 단어는 그리스어 'kosmetikos' 혹은 'kosmeo'에서 유래된 말로 '정돈하다, 장식하다, 꾸미다' 등의 의미를 가집니다. 즉, 예로부터 화장품은 아름다움을 유지하고 자신을 가꾸기 위해 사용되었습니다. 최초로 사용된 화장품은 놀랍게도 로션이나 크림 형태가 아니라고 합니다. 1600년대에 유럽인들은 천연두에서 살아남은 후 얼굴의 흉터를 커버하기 위해 천으로 된 패치를 만들어냈습니다. 이 패치는 별이나 달, 하트 모양 등의 실크 혹은 벨벳 조각으로 얼굴에 올려서 사용했습니다. 이것이 바로 최초의 화장품이었습니다. 이러한 패치는 이후 "french white"로 발전했습니다. 이것은 파우더의 일종으로, 피부에 이 가루를 덮어서 피부를 하얗게 하거나 흉터 등을 커버하기 위해 사용되었습니다. 하지만 단점으로 땀이 나거나 문지르면 쉽게 지워지곤 했습니다. 이후에 사람들은 땀이나 문지름에도 견딜 수 있는 화장품을 만들기 위해 그리스 페인트라는 색소를 개발했습니다. 이후 1936년에는 오늘날 색조화장품의 원조라고 볼 수 있는 "케이크 메이크업"이 탄생했습니다. "케이크 메이크업"이 소비자들에게 대중적인 인기를 끌면서, 사람들은 화장품에 다양한 얼굴의 색을 추가하게 되었습니다.
화장품과 약품의 구분
화장품이 생겨난 이후 화장품과 약품을 구분해야할 필요가 생겼습니다. 따라서 1938년 미국의회에서 약품과 화장품에 대한 법령을 제정했습니다. 만약 새로 개발한 품목이 질병의 완화, 치료 및 예방에 사용되면 약품으로 구분하고, 제조업자가 약품의 안전성과 효력을 증명해야만 했습니다. 반대로 새로 개발한 품목이 단순히 외모를 향상시키고 예뻐지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라면 화장품으로 분류하고, 이 품목의 안정성과 효력을 입증할 필요가 없었습니다. 하지만 화장품의 경우라도 피부의 구조나 기능에는 영향이 없어야 한다는 조건이 있습니다. 이러한 법규는 당시에는 맞았을지 모르지만, 현재에 와서 보면 좀 맞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서 화장품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원료는 물입니다. 하지만 피부를 물에 몇 시간동안 담가두면 각질세포가 부풀고 침투성이 증가되며 염증 사이토카인이 방출되고 혈류량도 변화합니다. 따라서 엄밀히 따지자면 1938년에 제정된 법은 현대과학에는 맞지 않지만, 현대에도 여전히 국소적 약품은 피부질환자를 대상으로 하고 화장품은 건강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다는 것에는 의미가 있습니다.
코스메슈티컬즈의 탄생 및 특성
이러한 발상에서 시작해서 1980년에 코스메슈티컬즈(cosmeceuticals)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제안되었습니다. 이 용어는 화장품 화학자 협외에서 Albert Kligman 박사가 제안한 것으로 화장품(cosmetic)과 약품(pharmaceuticals)의 합성어입니다. 이 용어는 화장품과 약품 사이에 있는 혼성물 혹은 중간물을 가리키기 위해 제안되었습니다. 당시에는 학계나 산업계 모두에서 이 단어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나 현재 코스메슈티컬이라는 용어는 널리 통용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코스메슈티컬과 유사한 개념으로 기능성 화장품(functional cosmetics)이라는 카테고리를 만들어 사용하고 있습니다. 또 보통 피부과의사가 코스메슈티컬의 개발에 참여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닥터브랜드 코스메틱스" 혹은 "닥터 모스메틱스", "메디컬코스메틱", "코스메디컬" 등으로 부르기도 합니다.
코스메슈티컬즈(기능성 화장품)가 되기 위해서는 다음 세 가지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첫째, 활성성분이 각질층을 침투해서 일관된 시간 과정에 따라 피부에 충분한 농도로 퍼져야 합니다. 두번째, 활성성분이 인체의 피부 세포와 조직에 어떤 특별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려진 생리학적 혹은 약리학적 기전이 있어야 합니다. 셋째, 활성 성분의 효능을 입증하기 위한 자료로 유의미한 이중맹검 위약대조군 임상시험(Double blind placebo controlled clinical study)이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이 연구가 의학잡지에 게재되어 있어야 합니다. 코스메슈티컬즈의 핵심은 기능이 있는 활성 성분입니다. 이 활성성분들이 피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가 중요하고, 이러한 영향에는 미백, 보습, 주름 개선, 장벽 강화, 발모, 양모, 자외선 보호, 태닝 등이 있습니다. 또 여드름이나 주사피부염, 아토피 등 특수한 경우에 효과적인 기능도 있을 수 있습니다.
'피부의 모든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화제와 장벽대체제, 각질융해제 및 보습제의 기타 성분들 (0) | 2022.08.23 |
---|---|
습윤제(Humectants)의 특성과 성분 (0) | 2022.08.23 |
밀폐제(occlusives)의 특성과 성분 (0) | 2022.08.23 |
건조한 피부의 악화 요인 네 가지 (0) | 2022.08.23 |
건조한 피부의 정의 및 증상과 수분 보습제의 효과 (0) | 2022.08.23 |
댓글